-
친구 게임 회사 QA후기[언리얼 개발하는 회사임]잡담 2023. 11. 23. 11:19반응형
1#. 업무용 메신저 - 슬랙을 쓴다.
2#. 깃이 아닌 Perforce를 사용한다.
Perforce는 뭉쳐놓고 시작한다.
Perforce를 기반으로 언리얼 게임을 개발한다. 중앙집중형
서버는 C# // 코드는 C++(언리얼이니까)
3#. 이슈 관리 프로그램으로 지라(어따씀?)
사람 많으면 옆에 톡톡쳐서 부탁할 수 없으니까
지라를 통해서 전달함
수정 요청 -> 수정 중 -> 수정 됨 -> 수정 완료
일정 관리에 용이
4#. 서로 '~~님' 씀
5#. 정상적인 회사 구분법 근로계약서 첫날에 씀(이건 당연한거 아니냐)
6#. 일단 서울에 와라[지방은 일자리 없음]
7#. [QA / 아트 / 3D 모델링 / 서버]랑 개발자랑 다른 층이라 개발자 일은 잘 모르겠음
8#. 출근 시간 유동적임 8시간 채우면 그만임
9#. 게임 점검 시간에 다 출근해서, 클라들이 빌드 올리고 -> QA팀이 체크하고 -> 서버팀이 올리고 ->
QA팀이 이상한거 찾아내면 다시 빌드해서 올림
10#. 사수들만 있어서 부담스러움(근데 든든하긴 함)
2명이 팀장급에 1명이 PM
같이 밥먹는데 코로 들어가는거 같음
관리당하는 이등병 느낌
11#. 아직 3일밖에 안대서 이게 다임
12#. 업무는 신입사원 가이드 종이쪼가리 두장 받음
퍼포스 깔 때, 서버 IP같은거 물어보고
다이렉트X 버전, 비주얼 스튜디오 버전 맞추고
아무튼 어지러움
13#. 지라로 일정이나 기획서 받아서 쓴다.
14#. 그래서 QA는 뭐함?
게임 켜고 -> 게임 기획서 올라오고 -> 테스트 케이스 작성
업데이트 완료된 버전이 나오면 -> 업데이트 된 기능 확인하고 -> 잘 작동하는지 확인
[업데이트 된 기능보다 일단 게임이 돌아가는지 확인]
이상한거 찾으면 지라에 이슈 올려줌
15#. 개발자들 코테 어려움
다 푸는건 기본이고(서울 회사 기준 -> 서울밖에 없죠? -> 다풀어야 되죠?)
지연시간도 신경써야 함(시간 복잡도, 공간 복잡도)반응형'잡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간만에 유니티 이벤트 참가 겸 강의 따라하기 (0) 2025.01.30 (잡담)2주차-3주차 강의 과제에서 막혔다. (0) 2023.08.17 스파르타 사전캠프 마무리 (0) 2023.08.04 맵 생성 너무어렵다 (0) 2023.07.02 랜덤 맵 생성 공부중 (0) 2023.07.0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