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네트워크 게임 개발 이론-1TIL 2023. 10. 24. 20:13반응형
네트워크 게임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배경
4인 멀티플레이어 게임은 총 몇명이 존재하는 게임인가?
A B C D 가 있다고 하였을 때,
#그 게임 세상에는 16명의 플레이어가 존재한다.#
이게 무슨 소리인가?
각각의 플레이어는 자신의 컴퓨터(혹은 기기)를 가질것이다.
즉, 게임을 플레이하면 4개의 게임 세상이 존재하게 된다.
(각자가 보는 화면)
A의 화면에는 ABCD 플레이어가 존재한다.
B의 화면에도 ABCD 플레이어가 존재하며,
C, D 역시 동일하다.
다시말해 16개의 플레이어가 존재한다.
여기서 A의 화면에서 존재하는
A플레이어는 로컬 플레이어다. 그렇다면 나머지는?
BCD는 리모트 플레이어다. (즉, 다른 게임세상에서 넘어온 플레이어)
B의 화면에서 존재하는 B 플레이어...
아래도 동일하다.
다시말해 A의 화면에 존재하는 A플레이어는 진짜지만
BCD의 화면에 존재하는 A플레이어는 복제품인 것이다.
그렇다면 로컬 플레이어 A는
BCD의 화면에 존재하는 A플레이어 각각에게
자신의 정보(위치, 상태, 행동 등등..)를 전달해야 할 것이다.(싱크 맞추기/동기화 걸기)
여기서 착각하면 안되는 것이,
A,B,C,D 화면에 존재하는 각각의 플레이어A는 별개의 존재이다.
이를 경험할 수 있는 부분이
네트워크 통신이 끊어져서 동기화가 멈춘 경우이다.
B만 통신이 끊겼다면,
A,C,D 화면의 플레이어A는 로컬 플레이어A와 동일한 동작을 취하지만.
B 화면의 플레이어 A는 통신이 끊기기 전의 마지막 행동을 실행하고 잇을 것이다.
ㅡ
이러한 환경을 어떻게 동일하는가?반응형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PC(원격 프로시저 호출 / Remote Procedure Calls) 란 무엇인가? (1) 2023.10.25 네트워크 게임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배경-2 (0) 2023.10.24 PUN2 - 네트워크 공부(강의 정리) (1) 2023.10.24 최종 프로젝트 - 1 일차 / 플레이어 조작 로직 결정 (0) 2023.10.23 델리게이트와 람다[예시-팝업] (0) 2023.10.18